반구비대칭1 절대음감은 만명에 1명 1. 심리적으로 의미 있는 소리 우리가 소리라고 여기는 것에는 물리학과 심리학 두 가지 요소가 관여한다. 물리학적으로는 소리를 구성하는 주파수, 진폭, 위상의 관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 세 가지 요소로 소리를 구성하고 분석할 수 있지만 현실의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다. 음향연구실이나 무향실 같은 제어된 환경에서 측정하는 음향과 실생활에서 우리가 접하는 음향은 다르기 때문이다. 물리학적 요소들에 환경이라는 거대 변수가 개입하여 만들어지는 결과가 바로 심리음향이고 심리학이다. 물리학에서는 진동의 발생과 전달, 소멸이 중요하며 듣는 이가 있고 없고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듣는 이가 없어도 자연계에서 소리는 발생한다. 하지만 듣는 이가 등장하면 그 공기의 진동에는 의미가 부여됨과 동시에 모든.. 2020. 2. 11. 이전 1 다음